김영민 교수님의 책이다. 나는 김영민 교수님의 시선과 글을 아주 좋아한다. 한 토막만 밑줄을 그을 수 없고, 글 전체를 읽어야 관통되는 위트가 있다. 그래서 항상 밑줄 긋기를 포기한다. 이번에도 역시나 모든 글이 좋았고, 특히 1부 정치란 무엇인가에 실린 글들은 최근 대선으로 인해 정치 혐오에 빠진 내게 그래도 우리는 정치적 인간임을 다시 일깨워주었다. 웃으며 책을 읽다 보면 정치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있는 것이구나 알게 된다. 그런 건 귀찮은 일이지만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운명을 지녔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의지를 발휘한다. 페리클레스의 말을 빌리면 정치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은 초탈한 사람이 아니라 쓸모없는 인간이 된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세상을 문제와 답으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물어야 한다. 이 사태가 문제라면 답은 무엇인가? 이 사태가 답이라면 문제는 무엇인가? 그런데 세상 문제들은 해결할 수 있는 딱 떨어지는 답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또 다른 문제다. 그러니 쉽지 않다.
정치가 어디 있냐고? 어느 날 눈을 떠보니 이 세상에 태어나 있고, 태어난 바에야 올바르게 살고 싶고, 이것저것 따져보고 노력해보지만 혼자 힘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없고, 다른 사람과 함께 하려니 합의가 필요하고, 합의하려니 서로에 대해서 알아야 하고, 합의했는데도 합의는 지켜지지 않고, 합의 이행을 위해 규제가 필요하고, 규제를 실천하려니 권력이 필요하고, 권력 남용을 막으려니 자유가 필요하고, 자유를 보장하려니 재산이 필요하고, 재산을 마련하니 빈부격차가 생기고, 빈부격차를 없애자니 자원이 필요하고, 개혁을 감행하자니 설득이 필요하고, 설득하자니 토론이 필요하고 토론하자니 논리가 필요하고, 납득시키려니 수사학이 필요하고, 논리와 수사학을 익히려니 학교가 필요하고, 학교를 유지하려니 사람을 고용해야 하고, 일터의 사람은 노동을 해야 하고, 노동하다 죽지 않으려면 인간다운 환경이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느닷없이 자연재해가 일어나거나 전염병이 돌거나 외국이 침략할 수도 있다. 공동의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은 많고 쉬운 일은 없다. 이 모든 것을 다 말하기가 너무 기니까, 싸잡아 간단히 정치라고 부른다. 정치는 서울에도 지방에도 국내에도 국외에도 거리에도 집 안에도 당신의 가느다란 모세혈관에도 있다. 체지방처럼 어디에나 있다. 정치라는 것은.
- 정치는 어디에 있는가 중에서 -
제목처럼 인간으로 사는 것은 하나의 문제이기 때문에 인간으로 사는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사는 것이 끊임없이 문제를 푸는 것이라는 생각을 요즘 들어 자주 한다. 쉽게 사는 것은 과연 없는 것인가 하는 생각도 한다. 크고 작은 문제들이 방심한 사이 여기저기서 툭툭 튀어나온다. 좀 더 세련된 방식으로 문제를 푸는 사람이고 싶어 책을 읽는데, 일단 목표까지는 달려보고 효과가 있는지는 생각해보려고 한다. 의심의 싹은 애초에 잘라버려야 한다. 말로만 하는 정치는 지긋지긋하고, 생각만 하는 나태함도 참 쓸모없다.
'▶ BO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000] 시간의 의미 / 크빈트 부흐홀츠 (0) | 2022.01.10 |
---|---|
[5, 6/1000] 주말엔 숲으로, 너의 곁에서 / 마스다 미리 (0) | 2022.01.10 |
[4/1000] 일론 머스크, 미래의 설계자 / 애슐리 반스 (0) | 2022.01.08 |
[2/1000] 피터 틸 PETER THIEL / 토마스 라폴트 (0) | 2022.01.06 |
[1/1000] 웰씽킹 WEALTHINKING / 켈리 최 (0) | 2022.01.05 |
댓글